웹존 1 페이지

Total 80건 1 페이지
[제2편] 사람과 정치. 삶을 풍요롭게 하는 조직의 역할. 특히 ‘정치’에 대한 잘못된 개념정의가 국가와 사회를 망친다.

강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00:00:00 시작00:03:23 댓글 읽어보기와 부탁의 말씀: 건강한 민주주의를 향하여. 블룸 《선악의 기원》, 바우어 《공감하는 유전자》, 리들리 《본성과 양육》 《이타적 유전자》00:45:12 나는 왜 이 강의시리즈를 하는가? “정의 내리지 않은 개념은 오용되기 쉽다” 00:50:12 [건강한 민주주의 네트워크(건민네)] 대전환의 시대에 우리가 해야 할 일은? AI, Bio, Crypto, Robotics: 미국 크립토 산업의 미래(S . . .

[제1편] 사람과 정치. 삶을 풍요롭게 하는 조직의 역할. 특히 ‘정치’에 대한 잘못된 개념정의가 국가와 사회를 망친다.

강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00:00:00 시작00:01:46 부탁의 말씀: 이승우 《고요한 읽기》, 건강한 민주주의를 향하여... 폴 블룸 《선악의 기원》, 요아힘 바우어 《공감하는 유전자》00:12:36 나는 왜 이 강의시리즈를 하는가?: “정의(定意, Definition) 내리지 않은 개념은 오용되기 쉽다” 교육이란 무엇인가? 00:27:15 〈건강한 민주주의 네트워크〉 대전환의 시대에 우리가 할 일은?00:38:34 장영자(1944년생), 그 버릇 개도 주지 못 . . .

용서하지 말라. 섣부른 용서는 또 다른 죄악을 불러온다. 【건강한 민주주의 네트워크】

강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00:00:00: 시작00:02:21: 미국도 다시 사기꾼이 대통령이 되었다.00:06:31 사기꾼 명태균과 출세에 눈이 먼 이준석의 작품은 무엇인가?00:16:40 지금, 우리 사회에서 가장 큰 문제는 무엇인가? “허가받은 범죄집단”: 정치인의 책임과 죄의 문제: 거짓말로 시작한 사람들: 명태균, 윤석열, 이준석, 문재인, 조국, 한동훈... : 정직해야 하는 이유00:31:25 죄의 문제: 막스 베버와 칼 야스퍼스: 정치적 죄, 형이상학적 죄01: . . .

한강, 노벨문학상. 그 의미와 한강의 문제의식 【건강한 민주주의 네트워크】

강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00:00:00 시작00:03:37 김민석 수석최고의 경고00:12:47 서울시 교육감, 잘 뽑아야 한다: 정근식 vs. 조전혁00:14:37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00:15:28 노벨문학상 발표문을 읽어보자00:41:52 한강의 소설가로서의 문제의식00:51:34 한강과 엘리 위젤의 문제의식은? 엘리 위젤 《나이트》, 아리엘 버거 《나의 기억을 보라》01:00:31 부탁의 말씀: 다시 ‘촛불혁명’의 정신으로 01:04:39 탄핵 이후 . . .

건강한 민주주의, 탄핵으로 시작된다. ‘한강의 문제의식’과 노벨문학상 【건강한 민주주의 네트워크】

강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00:00:00 시작00:03:35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 한강 《소년이 온다》00:16:09 서울시 교육감, 잘 뽑아야 한다: 정근식 vs. 조전혁00:18:41 김건희와 윤석열의 관계00:21:21 김건희는 누구인가?00:29:05 윤석열은 누구인가?00:33:53 매관매직, 부정부패, 샤머니즘 (사랑의 결핍)00:54:48 [사례] 1987년 바쉘 사건의 교훈: 민주주의의 적은 무엇인가?01:11:06 명태균 사건이 보여주는 것01:14: . . .

투명하게, 더 투명하게. 인사조직 관점에서 【건강한 민주주의 네트워크】

강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00:00:00: 시작00:00:57: 오프라인 강의 현장00:19:36 이 강의시리즈를 하는 첫째, 둘째 이유?00:28:40 투명하게, 더 투명하게 (인사론과 조직론의 역할) – 독립된 자율적 주체00:39:03 인간이란 무엇인가? 매관매직, 부정부패, 샤머니즘에 빠지는 원인 (사랑의 결핍)01:06:04 (진실한) 리더십이란 사랑의 실천이다: 신뢰의 확보와 희망의 공유01:27:28 조직이란 무엇인가? 조직론이란 사람이 짐승으로 변하지 않도록 하 . . .

고위공직자가 모르는 직무개념의 중요성. 한국 정치는 왜 실패하는가? 【건강한 민주주의 네트워크】

강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00:00:00 시작00:00:38 오프라인 강의(2024.05.19.)에 대한 소감00:18:01 공개강의를 하는 이유?00:30:26 우리는 지금 어디에 있는가? 고위공직자들의 배신과 부패00:41:42 페터 아이겐, 국제투명성기구(Transparency International)의 처방00:53:19 인사조직론이란 무엇인가?00:53:58 직무의 위상과 직무개념의 부재00:56:34 [예시] (게르만 모형) 직무개념과 합의의 의사결정01:12:12 직무(j . . .

직무설계 비리, 부정부패, 불법행위를 근절하려면 【건강한 민주주의 네트워크】

강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00:00 시작06:03 문제의식의 출발과 품의제도의 기원과 문제점38:34 품의제도에서 벗어나는 조직인사론의 핵심41:15 왜 직무설계가 중요한가?50:44 조직인사론의 핵심_성과주의적 직무인식55:20 성과책임과 성과목표1:06:10 성과책임을 규명하는 방법1:25:54 자율성을 위한 분권화와 성과책임 매트릭스(예시)1:33:46 직무간의 상호관계(network)1:43:09 정리

우리는 세계 윤리 공동체 미래형 민주주의를 만들어야 한다.

미래에 어떠한 위협으로부터 우리는 윤리 공동체를 통해서 민주주의 국가를 방어를 해야 합니다.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고, 같은 실수를 반복해도 느끼지 못하는 어리석은 동물이다.욕심은 결국 모든 것을 병들게 할 것이며, 지구의 종말을 볼 것이다.가진 자는 미래를 위해 사회에 돌려주고, 나누어야 한다.본디 인간은 혼자 살 수 없고, 무로 이 세상에 왔으며, 우리는 다시 무로 저 세상으로 간다.